주류성과 금사동산성의 관계 주류성과 금사동산성의 관계(최진성박사) 그렇다면 백제부흥군들이 주류성을 전략적 거점으로 삼는 과정에서 산성을 중심으로 방어 체계를 그토록 빠르게 구축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이를 위해서는 백제시대의 군사전략적인 산성 체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그 출발점에 고사비성과 .. 백강전쟁(白村江の戦い) 2009.09.03
주류성과 방어 산성의 관계 주류성과 방어 산성의 관계(최진성박사) 주류성은 <위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산반도의 높은 산지를 등지고 앉아 내륙의 평지와 해안을 함께 내려다보는 형세라서 조망이 탁월하였다. 또한 주류성은 외적으로부터 직접 공격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 외곽에 산성들이 겹겹이 위치하고 있다.. 백강전쟁(白村江の戦い) 2009.09.03
주류성과 방어체계 주류성과 방어체계 주류성은 변산의 서쪽 높은 산지를 등지고 내려 앉아 내륙의 평지를 내려다보는 형국이다. 주류성 전면은 상서들판이 넓게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서쪽보다는 동쪽의 방어선이 불리한 요소이다. 그러나 다행스러운 것은 동쪽으로 두포천과 고부천 및 동진강의 지류들이 넓은 습지.. 백강전쟁(白村江の戦い) 2009.09.03
주류성 일대의 산지와 하천 주류성 일대의 산지와 하천(최진성박사) 변산반도는 두포천과 고부천을 포함하여 백악기 화산암류의 산지가 발달해 있으며, 그 오른편으로는 동진강과 만경강 유역의 호남평야가 펼쳐져 있다. 변산반도의 산세는 서고동저의 지형으로, 서쪽의 변산반도 주봉들은 해발 300-400m의 산지들이 대부분이며, .. 백강전쟁(白村江の戦い) 2009.09.03
백강은 어딜까? 백강은 어딜까? 백강이 지금의 어느 곳인가에 대한 지리 비정의 문제는 많은 논의를 거처 이제는 대체로 동진강으로 인정을 하고 있다. 津田左右吉을 비롯한 일본학자들은 일찍부터 백강이라는 전적지를 찾기 위해 사서에 나오는 지명을 오로지 음성학적으로 비교하였다. 백강구의 위치문제 논쟁은 8.. 백강전쟁(白村江の戦い) 2009.09.02
백강구전쟁의 패배와 부흥백제국의 몰락 백강구전쟁의 패배와 부흥백제국의 몰락 7세기 중엽 동아시아에서 주목되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나․당군과 제․왜엽합국 사이에 일어난 백강구전쟁을 들 수 있다. 이 전쟁은 당시 국제전쟁이라 일컬을 수 있을 만큼 참전국의 쌍방이 모두 군사적인 동맹관계를 활용하는데서 충돌된 사건이다. 이 전.. 백강전쟁(白村江の戦い) 2009.09.02
주류성으로 왕성 천도와 풍왕의 왕권계승 주류성으로 왕성 천도와 풍왕의 왕권계승 부흥백제국의 주류성 천도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나당군을 방어하기 위하여 주류성을 왕성으로 정하였다. (부안군 상서면 감교리에 있는 우금산성은 거의 4km에 달하는 포곡식 산성이다. 울금바위에서는 부안의 해안은 물론 멀리 고부까지 보이는 천혜의 .. 백강전쟁(白村江の戦い) 2009.09.02